pISSN: 2287-1667

통일사상연구, Vol.12 (2017)
pp.1~25

통일예술론과 대중문화비평을 위한 시론

안연희

(선문대 교수)

이 글은 대중문화의 시대 문화수용자의 비평역량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통일 예술론의 구조 속에서 ‘비평’(criticism)의 자리를 확립하고, 통일예술론을 토대로 대중문화비평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관점을 검토하였다. 통일예술론이 지향하는 새로운 심정문화창조를 위해서도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대중문화의 흐름, 대중문화 시스템과 사회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성찰, 즉 비평적 관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통일예술론은 예술활동을 창작과 감상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창작을 전체목적 을 추구하는 가치실현욕에 의해 가치(미)를 실현하여 기쁨과 유익을 주고자 하 는 행위로, 감상을 대상인 작품에서 가치(미)를 추구하고 발견하고 행위로 설명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구도에서 감상활동으로 언급된 ‘부가창조’에 주목하고, 비평을 이러한 적극적이고 창조적인 감상으로 볼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와 같 은 비평의 자리는 문화 수용자의 능동성이 증대된 현대 대중문화의 흐름에서 통 일예술론에 근거한 대중문화비평의 열린 지평이라 할 수 있다. 통일예술론에 입각한 대중문화비평은 현대문화의 퇴폐화, 저속화와 물질주의 풍조를 비판할 뿐 아니라, 창조본연의 기쁨을 자극하는 심정예술의 창조를 위해 새로운 문화기술과 미디어의 감각적, 수평적, 대중적, 쌍방적 소통의 기능을 창조 본연의 선한 용도로 회복시키고 비판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대중문화론을 구축 하는 것이 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비평은 지정의의 완전한 조화로서의 미를 추 구하는 예술의 본래적 지향을 끊임없이 상기시킴으로써, 단지 예술을 위한 예술 지상주의적 예술, 문화지상주의적 문화 개념을 넘어, 이론과 실천윤리적 지평을 아우르며 예술과 삶의 통일성을 지향하는 작업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An Essay for Popular Culture Criticism from the View of Unification Theory of Art

An, Youn Hee

This article examines the role and meanings of popular culture criticism from the views of unification theory of art,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our critical competence in the era of popular culture. To create a new Shimjeong(heart) Culture which the unification theory of art aims for, it is also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the trends of popular culture, and cultural systems critically. That is, a critical viewpoint is needed. According to the unification theory of art, human artistic activities are divided into creation and appreciation. The former is an act of creation of beauty giving delights and benefits for the entire purpose, and the latter is an act of seeking and discovering values(beauty) in works of art by the individual purpose. This thesis focuses on “additional creation” of appreciation activity in this framework, suggesting such an active and creative appreciation as a ‘culture criticism’. In particular, securing a place of criticism from the viewpoint of the unification theory of art will be a good starting point for popular culture criticism to more active cultural consumers or creative culture agents. Popular culture criticism from the unification theory of art have a critical viewpoint on decadent and vulgar modern popular culture and its materialism. Furthermore, It should establish a popular cultural theory that will be able to use and enjoy new culture technologies and medias capable of horizontal, democratic,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critically, and restore them into original good use for the creation of Shimjeong art stimulating original joy of creative nature. Such criticism also recalls the original direction of art pursuing ‘beauty’ as a complete harmony of intellect, affection, and will, constantly. Therefore, it can be a work that seeks for the unity of art and life, beyond the concept of art for art’s sake, culture for culture’s sake, encompassing practical and ethical horizons as well as theoretical horizons.

Download PDF list





[12461]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미사리로 324-211 선학UP대학원대학교 313호     TEL. 031) 589-1559     Email. contact@asut.or.kr     [개인정보보호정책]
Copyright © The Academic Society of Unification Thought. All rights reserved.